술이 12

논어 전 구절 생각필사#87(제 7편 술이)

제7편 술 이 (述 而) 7-32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학문에 대해서라면 아마도 내가 남보다 못하지 않겠지만, 군자이 도리를 몸소 실천하는 것은 내가 아직 이루지 못했다." 지식은 많으나 실천하는 것은 아직 부족하다고 공자 스스로 말한다. 너무 겸손한 표현이 아닐까. 오히려 실천을 하나도 하지 않는 사람은 큰 소리를 칠 텐데. 군자의 경지는 공자에게도 쉽지 않은가 보다. 절제와 배려, 공감과 경청, 예술을 지향하는 삶. 이 모든 것이 삶에서 조화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 보통의 노력으로 되지 않는 것이다. 지식 쌓기는 쉬워도 실천으로 녹여내는 건 평생에 걸쳐해야 할 숙제일 것 같다. 7-33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성인(聖人)과 인인(仁人)이야 내가 어찌 감히 되겠다고 할 수 있겠느냐? 하지만 성인과 인인..

배움/논어 2020.12.19

논어 전 구절 생각필사#86(제 7편 술이)

제7편 술 이 (述 而) 7-26 공자께서는 낚시질을 하셔도 그물질은 하지 않으셨으며, 주살질은 하셔도 둥우리에 깃든 새를 맞히지는 않으셨다. 낚시를 하지만 그물로 잡지 않는다는 건 싹쓸이를 하지 않겠다는 뜻이다. 내가 필요한 양만큼 필요한 때 잡아먹고 어린 물고기는 잡지 않아야 사람과 자연이 공존할 수 있다. 새를 사냥할 때도 마찬가지. 잠든 새나 어린 새는 잡지 않으므로서 인간됨을 지켜낸다. 7-27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제대로 알지 못하면서 새로운 것을 창작하는 사람이 있지만, 나는 그런 일은 하지 않는다. 많이 듣고 그중 좋은 것을 택하여 따르며, 많이 보고 그중 좋은 것을 마음에 새겨 둔다면, 이것이 진실로 아는 것에 버금가는 일이다." 태어나면서부터 아는 사람보다 살면서 배우고 익히고 실천해..

배움/논어 2020.12.13

논어 전 구절 생각필사#85(제 7편 술이)

제7편 술 이 (述 而) 7-21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세 사람이 길을 걸어간다면, 그 중에는 반드시 나의 스승이 될 만한 사람이 있다. 그들에게서 좋은 점은 가리어 본받고, 그들의 좋지 않은 점으로는 나 자신을 바로잡는 것이다." 삼인행 필유아사(三人行 必有我師) 세 사람 중 한 명은 나이고 한 명은 선한 사람. 또 다른 한 명은 그렇지 못한 사람이라고 가정하면, 선한 사람은 내가 본받고 배워야 하는 사람이다. 그렇지 못한 사람은 내가 그 사람을 보고 나의 행동을 돌이켜 봐야 한다. 나를 본받게 하는데서 혹은 나를 반성하게 하는 데서 선한 사람, 불선한 사람 가릴 것 없이 모두 나를 가르친다. 세상 사람 모두가 나의 스승이니, 사람을 대할 땐 존중과 배려로 대하고 겉모습 보고 사람을 가르지 말자. 그..

배움/논어 2020.12.12

논어 전 구절 생각필사#84(제 7편 술이)

제7편 술 이 (述 而) 7-19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나는 태어나면서부터 (세상의 도리를) 안 사람이 아니다. 옛 것을 좋아하여 부지런히 그것을 추구한 사람이다." 공자는 자신이 날 때부터 모든 것을 아는 천재가 아니라고 한다. 배워서 깨닫는 사람. 공자의 사상과 말과 행동이 2000년이 흘러도 살아남은 것을 보면 세상에 영향력을 미치는 건 천재가 아니라도 배우고 깨닫고 고치고 하면서 시대에 맞는 진리를 제시하는 사람일 수도 있겠다. 천재가 아니라고 원망하지 말고 부지런히 배우고 진실로 깨달아서 실천하고 진리를 후세에 전할 수 있는 인재가 되자. 7-20 공자께서는 괴이한 일, 힘으로 하는 일, 사회를 어지럽히는 일, 귀신에 관한 일을 말씀하시지 않으셨다. 공자는 세상을 어지럽히고 사람들을 혼란에 빠..

배움/논어 2020.12.05

논어 전 구절 생각필사#82(제 7편 술이)

제7편 술 이 (述 而) 7-15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거친 밥을 먹고 물을 마시며 팔을 굽혀 베개 삼고 누워도 즐거움은 또한 그 가운데 있다. 의롭지 않으면서 부귀를 누리는 것은 나에게는 뜬구름과 같은 것이다." 인생의 즐거움은 어디에나 있고 사소한 것에서도 행복을 느낄 수가 있다. 거친 밥 먹고 팔을 베개 삼아 누워도 즐거움을 느낄 수 있으면 좋은 인생이다. 옳지 못한 행동으로 부귀를 누리는 것은 잠깐 왔다 사라지는 뜬구름 같은 것이니 거기에 집착하지 말고 가치를 두지 말라는 공자의 말씀. 소소하지만 확실한 행복 - 소확행 일상에서 평범한 즐거움 - 일평즐 7-16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나에게 몇 년의 시간이 더 주어져서 쉰 살까지 역(易)을 공부한다면, 큰 허물이 없을 것이다." 공자는 일흔둘에..

배움/논어 2020.12.03

논어 전 구절 생각필사#81(제 7편 술이)

제7편 술 이 (述 而) 7-13 공자께서 제나라에서 순임금의 음악인 소를 들으신 후, 석 달 동안 고기 맛을 잊으시고는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다. "음악을 하는 것이 이런 경지에 이를 줄은 생각하지 못했다." 어떤 음악이면 석달 동안 고기 맛을 잊을 정도가 될까? 오래도록 듣고 싶었던 음악일까? 아니면 한 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감동적인 음악이었을까? 무엇이 됐든 음악에 몰입하고 몰입 후의 감동을 오래 기억했던 공자는 진짜 예술인이다. 7-14 염유가 말하였다. "선생님께서 위나라 임금을 위해 일하실까요?" 자공이 말하였다. "좋아요. 제가 여쭈어 보지요." 안으로 들어가 말하였다. "백이와 숙제는 어떤 사람입니까?" "옛날의 현인이지." "세상을 원망했을까요?" "인을 추구하여 인을 얻었으니 또 무엇을 ..

배움/논어 2020.12.02

논어 전 구절 생각필사#80(제 7편 술이)

제7편 술 이 (述 而) 7-11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부가 만약 추구해서 얻을 수 있는 것이라면, 비록 채찍을 드는 천한 일이라도 나는 하겠다. 그러나 추구해서 얻을 수 없는 것이라면 내가 좋아하는 일을 하겠다." 부자가 되기 위해 할 수만 있다면 마부라도 마다하지 않겠지만, 그런 부자를 추구하지 않는다면 그냥 자기 좋아하는 일을 하면 살아라고 말한다. 지금 우리에게 던지는 메시지 같다. 모두가 부를 보고 쫓아간다고 자신의 삶의 목표가 꼭 부자가 되라는 법은 없다. 삶의 목표를 인격의 완성이나 만족에 둔다면 좋아하는 일을 하며 살아도 괜찮다고 말해주는 사람이 있으면 좋겠다. 부를 일궈 사회에 기여하는 거나 좋아하는 일을 하여 사회와 나누는 거나 세상을 아름답게 만드는 건 똑같을 것이다. 7-12 공자..

배움/논어 2020.12.01

논어 전 구절 생각필사#79(제 7편 술이)

제7편 술 이 (述 而) 7-9 공자께서는 상을 당한 사람 곁에서 식사를 하실 때에는 배부르게 드신 적이 없으셨다. 공자께서는 곡을 하신 날에는 노래를 부르지 않으셨다. 상을 당한 사람 옆에서는 그 슬픔을 공금하고 밥을 배불리 먹지 않는 것으로 배려를 표현했다. 공감과 배려를 잘 표현하는 것이 공자가 말하는 사랑이자 '인'이다. 조문한 날에는 매일 부르는 노래도 부르지 않을 만큼 공자는 '인'을 적극 실천했다. 인은 멀리 있지 않고 어려운 것이 아니다. 타인의 기쁨과 슬픔에 공감하고 그것에 맞게 배려를 잘 표현한다면 인을 실천하는 것이겠다. 7-10 공자께서 안연에게 말씀하셨다. "나라에서 써 주면 일을 하고 관직에서 쫓겨나면 숨어 지내는 것은, 오직 나와 너만이 이러한 뜻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 자로..

배움/논어 2020.11.30

논어 전 구절 생각필사#78(제 7편 술이)

제7편 술 이 (述 而) 7-7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육포 한 묶음 이상의 예물을 갖춘 사람이라면, 나는 가르치지 않은 적이 없다." 공자는 최소한의 수업료만 내면 모두 제자로 받아들였다. 최소한의 수업료가 육포 한 묶음인데, 아무것도 받지 않으면 공짜라는 생각에 공부를 대충 할 것 같은 마음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서일까? 자기 형편에 따라 최소한의 성의만 표시하면 공자 학당의 일원이 되고 공자는 그런 제자를 나이나 신분 재력에 따라 차별하지 않았다. 그러니 제자들이 공자를 존경하는 것이다. 7-8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배우려는 열의가 없으면 이끌어 주지 않고, 표현하려고 애쓰지 않으면 일깨워 주지 않으며, 한 모퉁이를 들어 보였을 때 나머지 세 모퉁이를 알지 못하면 반복해서 가르쳐 주지 않는다." ..

배움/논어 2020.11.29

논어 전 구절 생각필사#77(제 7편 술이)

제7편 술 이 (述 而) 7-5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심하구나, 나의 노쇠함이여! 오래도록 나는 주공을 꿈에서 다시 뵙지 못하였다." 주공은 주나라 무왕의 동생으로 무왕을 도와 주나라 건설한 사람. 공자의 이상형은 주공. 꿈에서라도 본다는 건 평소 얼마나 많이 생각하고 닮고 싶어 한다는 뜻일까? 꿈속에 더 이상 주공이 나오지 않아 자신이 늙은 것 같다고 여기는 공자. 인간미가 느껴진다. 공자처럼 롤모델을 밤이든 낮이든 닮고 싶어 하고 꿈까지 꾸기에 이상형에 더 가까이 가는 것 같다. 난 이토록 간절하게 닮고 싶은 사람이 있었나? 꿈속에까지 나오진 않았는데. 7-6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도(道)에 뜻을 두고, 덕(德)에 근거하며, 인(仁)에 의지하고, 예(藝)에서 노닌다." 도덕인예 인생의 목표(도)가..

배움/논어 2020.11.28